AWS 버전4으로 배포 원리
1. 엘라스틱 빈스톡에서 애플리케이션 생성하기
- 플랫폼 지정 등 필요한 것 선택
- 여기서 환경 변수에서 RDS에 대해 설정(hostname, dbname, port, username, password)
- 애플리케이션이 만들어지면 ec2에 인스턴스가 생성됨.
- 생성된 인스턴스의 퍼블릭 IP, 프라이빗IP, VPC ip, 보안 그룹 이름, 보안 그룹 Id가 만들어짐. (따로 저장해 놓게 좋다.)
- 보안그룹에서는 기본적으로 22포트와 80포트가 설정되어 있음.
2. RDS 생성하기
- 위에서 설정된 vpc id로 설정
- 엘라스틱 빈스톡 환경변수로 설정한 username과 password로 마스터 사용 이름, 암호 저장
- 퍼블릭 액세스 (예)로 설정
: 원격으로 내 컴퓨터에서 접속을 해보기 위해 퍼블릭 액세스는 (예)로 설정
=> 외부에서 누구나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따로 설정 필요(외부는 로컬 컴퓨터에서만 접근 가능하게)
- vpc 보안 그룹 설정
=> ec2에 있는 보안 그룹을 설정하면 ec2와 rds가 같은 보안 그룹에 있음
- ec2에서 보안그룹 편집
=> mariaDB 포트인 3306포트를 해당 보안그룹에서 접근 가능하게 설정
- 클라이언트가 ec2로 접근
- rds는 로컬 컴퓨터에서 접근 가능하며, 같은 보안그룹에 있는 ec2에서만 접근 가능(같은 보안그룹끼리 접근 가능)
[외부 접근 불가]
1. VPC : 외부 액세스 금지
2. 포트 개방
- VPC1에서만 접근 가능
- 특정 IP만 접근 가능
[K-디지털] AWS 리눅스 기반 클라우드 데브옵스 기초 실무 과정 참고하며 작성하였습니다.
'WEB > 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) 롤링 업데이트 및 배포 (0) | 2024.01.12 |
---|---|
AWS) 오토 스케일링과 로드 밸랜서 (0) | 2024.01.12 |
AWS) IAM_Identity Access Manager (2) | 2024.01.03 |
AWS) CI/CD 지속적 통합 및 지속적 배포, 전달 (1) | 2024.01.03 |
ec2 서버 배포 과정과 스크립트 작성 (1) | 2024.01.03 |